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하드웨어/공유기 네트워크

시놀로지 DS216+II 추억과 데이터를 한번에 백업

 

시놀로지 DS216+II 필테를 하면서 개인적으로 네트워크상에서 쉽게 접근이 가능한 미디어서버로서의 역할만으로도 100%만족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어떻게 보면 이렇게 좋은 NAS 장치를 가지고 그정도의 사용용도만으로 만족하는건 너무 과분한거 아니냐는 의견이 있을수도 있다고 생각하지만 기존에 NAS아닌 NAS환경(공유기+외장하드)을 사용하다가 기회가 닿아 사용하게 된 시놀로지 DS216+II는 그 편의성 및 성능(여기서 성능이라는 표현은 응답속도 및 기가비트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저장속도)이 너무 압도적이라 시놀로지 DS216+II가 아니더라도 보급형 장비수준이라도 투자할 가치가 충분히 있음을 자각하게 된 부분에 높은 점수를 주고 싶습니다.

 

예를 들어 공유기기반, NAS환경(어떤 블로거분의 격한 표현을 빌리자면 NAS도 아닌것이 공유기에 USB포트하나 달아놓고 NAS인척 폼잡는격..)에서는 일단 데이터 옮기는 속도가 너무 느려서 고화질 동영상 저장하려면 네트워크상에서 옮기는게 아니라 외장하드 분리해서 PC에 연결한 후 저장하고 다시 공유기에 연결해서 원할때 스마트 TV를 통해 재생하기도 하고 PC에 저장된 영상을 네트워크 공유로 해서 공유한 후 TV에서 재생을 하는등 무언가 하고 싶은일 하나를 하기 위해서 준비해야할 일이 많다보니 자주 이용하지 않는 악순환이 반복이 되었죠. 그런데 지금은 NAS로 옮겨서 사용해야할 파일(사진, 동영상)의 크기가 커도 기가비트랜 기반이라 분당 1기가정도가 전송이 가능하다보니 몇분만 투자하면 고화질 동영상도 전송이 가능하게 되었고 이렇게 저장된 데이터는 유선 연결된 스마트TV나 와이파이로 연결된 스마트폰을 통해 집안 어디에서나 마음놓고 볼 수 있기때문에 상당히 편리해졌습니다. 특히 공유기기반의 환경일때는 대역폭의 한계때문에 공유된 동영상을 여러명이 동시에 접속하거나 여러개의 동영상을 동시에 접속하게 되는경우 버퍼링현상이 심했지만 현재는 그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있습니다. 특히 고화질 동영상의 경우에는 비트레이트가 높다보니 PC를 제외하고 스마트폰에서 재생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었지만 이런 문제점도 시놀로지 DS216+II를 통해 모두 해결된 상태라 사용만족도가 높을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런 리뷰에서는 NAS라는 장치가 나오게된 핵심 이유인 데이터백업이기때문에,  시놀로지 DS216+II를 통해 데이터파일을 백업하는 내용과 스마트폰의 사진파일을 쉽게 백업하고 공유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시놀로지 DS216+II에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역시 외부에서 접속이 가능하도록 기본 준비가 필요합니다. 현실 생활에서 목적지를 찾아가기 위해서 주소지가 필요하듯이 시놀로지 DS216+II에게도 네트워크 상에서 찾아갈 수 있는 주소를 부여해야만 합니다. 가장 쉬운 방법은 시놀로지 DS216+II에 DSM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입력한 [QuickConnect] 계정입니다.

 

DSM설치시 입력한 [QuickConnect] 계정을 이용한 접속 방법은

 

http://QuickConnect.to/[QuickConnect]계정

 

위의 주소형식을 브라우저에 입력하면 DSM 로그인 화면이 나타나고 시놀로지 DS216+II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QuickConnect] 계정은 스마트폰 접속용 앱에서도 사용하기 때문에 로그인계정과 함께 외워두시기 바랍니다.

 

 

시놀로지 DS216+II 외부 접속 방법 두번째는 도메인네임을 적용하는 방법입니다.

도메인네임을 사용하기전에 사용가능한 도메인네임을 할당받아야 합니다.

다양한 곳에서 DDNS를 제공하고 있지만 가장 손쉬운 방법은 역시 시놀로지에서 제공하는 DDNS를 제공받는 방법입니다. 우선 로컬또는 네트워크상에서 시놀로지 DS216+II에 접속을 하고 로그인을 한다음 제어판의 [외부엑세스] 항목을 선택하면 DDNS 관련 메뉴가 있습니다. 여기에서 DDNS 추가버튼을 누르고 사진처럼 [synology.me]로 끝나는 도메인네임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도메인네임이 겹치지 않도록 [연결테스트] 과정을 마쳐야만 합니다.

 

이렇게 발급받은 DDNS 또는 [QuickConnect] 계정 둘중에 하나만 설정해놓으면 외부 접속을 위한 환경의 가장 큰 단계는 해결이 됩니다.

 

 

다음 단계에 필요한 부분은 네트워크상에서 흔하게 사용되는 [권한설정] 과정이 필요합니다. 막상 로그인까지 제대로 했는데 결정적으로 파일에 대한 [접근권한] 설정이 원하는 대로 되어 있지 않다면 상당히 곤란해지는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파일을 백업하길 원하는데 쓰기권한이 없어서 백업을 못하거나 문서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데 읽기권한이 없어서 접근이 안되거나 한다면 결국 로컬파일이 위치한 곳이나 시놀로지 DS216+II가 있는곳까지 직접 와야 되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한 권한설정까지 마치고 나면 이제 마지막 단계가 남아 있습니다. 시놀로지 DS216+II 환경설정보다 쉽지만 공유기를 사용하는 유저분들이라면 안해주면 외부 접속이 안되기 때문에 역시 중요한 과정입니다.

 

시놀로지 DS216+II 장비에 외부에서 접속하기 위해서는 IP주소나 도메인네임외에도 [포트]라는것을 사용합니다. 일종의 문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하실겁니다. 도메인 네임이 나스가 위치해 있는 주소라고 한다면 [포트]는 대문에 해당하고 계정/암호는 [대문]을  열고 들어가는 열쇠라고 비유하면 적당할거 같습니다. 다만 시놀로지 DS216+II 장비 앞단에 공유기라는 네트워크 장비가 위치하고 있다보니 외부에서 보면 공유기는 일종의 장벽같은 존재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NAS 장비의 대문으로 들어가려면 우선 공유기 대문으로 들어가야 하는데, 이때 공유기의 [포트]와 NAS 장비의 [포트]를 연결시켜주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런 과정을 [포트포워딩]이라고 합니다. 포트포워딩을 하기위해서는 우선 공유기에 접속해 시놀로지 DS216+II가 사용하는 유동IP 주소를 알아야 합니다. 보통 공유기 접속후 내트워크 환경에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다음은 공유기 환경설정 화면의 [포트포워딩] 항목에서 시놀로지 DS216+II IP주소와 포워딩할 포트번호 [5000]을 입력한 후 환경설정을 저장하고 나서 공유기에 따라서 그대로 사용하거나 재부팅을 하고나면 모든 환경설정은 마치게 됩니다. 물론 외부에서 FTP처럼 특정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원한다면 각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포트도 추가해주면 됩니다.  

 

 

 

그럼 이제 시놀로지 DS216+II 데이터 백업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PC를 통해 시놀로지 DS216+II DSM에 접속한 후 패키지 프로그램중에 [Cloud Station Server]를 실행하면 다음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가장 유용하면서 쉬운 백업 프로그램은 3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Cloud Station Drive] 프로그램은 양방향 동기화가 가능한 백업 프로그램입니다. PC에서 유저가 작성한 파일과 NAS에 저장된 파일을 동시에 최신 상태로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합니다. 이 기능이 유용한 경우는 여러명의 유저가 같은 작업을 나누어서 할 경우 일일히 최신 파일을 NAS에서 다운로드받고 작업한 후 다시 업로드 하는 과정이 필요없이 항상 양방향 최신 파일 상태로 유지시켜주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높아집니다. 물론 이렇게 작업을 하다보면 과거에 작성한 문서 내용을 다시 원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를 대비해서 [Cloud Station Drive] 프로그램은 다단계 레벨 저장법을 적용해 저장된 순서에 따라 과거 문서로 복귀가 가능합니다. 마치 타임머신처럼 과거에 저장된 파일을 불러오는게 가능하며, 저장 단계는 유저가 설정 가능합니다.

 

 [Cloud Station Backup] 프로그램은 기존의 백업프로그램들이 사용하는 가장 보편적인 백업방식을 사용합니다. 유저가 가진 파일을 일방적으로 NAS 장비에 업로드 해 저장하게 됩니다. 가장 보편적인 방식으로 외장하드 대신 NAS 장비에 파일을 카피해서 보관하는 방식과 동일합니다. 다만 접근 가능한 다른 유저가 NAS에 저장된 파일을 수정할 경우 기존의 유저가 가진 파일은 최신상태를 유지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습니다. 

 

 

 

[Cloud Station Drive] 프로그램 설정 및 사용방법

 

 

 

로컬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에서도 사용가능하도록 도메인네임(퀵커넥트ID)와 계정 정보를 입력합니다.

 

 

 

 

 

 

 

 

[Cloud Station Backup] 프로그램 설정 및 사용방법

 

 

 

 

 

 

[Cloud Station Drive/Backup] 프로그램은 사용하기가 상당히 쉬운 프로그램입니다. 내용도 직관적이라 소스/타겟만 지정해주면 백업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며 [Cloud Station Drive]는 작업중인 파일 백업용으로, [Cloud Station Backup]은 최종 완성된 파일의 보관용으로 사용하기에 적당합니다.

 

[DSCloud]

   

 

마지막으로 소개해드릴 백업 프로그램은 PC용이 아니라 스마트폰용 백업프로그램인 DSCloud입니다. 나중에 다시 언급이 되겠지만 백업이란 기능이 NAS의 고유기능이자 핵심기능이다보니 DSCloud외에도 DSPhoto에서도 백업 기능이 일부 들어가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다소 겹쳐지는 부분이 있지만 일단 DSCloud는 백업전용 앱이기 대문에 백업프로그램으로 분류된거 같습니다. 초기 화면은 이제 너무 익숙한 주소입력과 계정입력 화면입니다. 이렇게 로그인을 마치고 나면 데이터를 저장할 서버위치를 지정해야만 합니다.

 

 

다음은 스마트폰에서 저장하고 싶은 파일이 위치한 디렉토리를 지정하면 됩니다. 메모리 저장소 통째로 지정도 가능하며 특정 디렉토리 지정도 가능합니다.

 

 

DSCloud 앱도 직관적인 사용방법을 보여주고 있어서 어려운부분이 전혀 없습니다. 다만 마지막 옵션에서 [동기화방향]은 상황에 맞게 설정을 잘 하셔야만 합니다. 이 옵션에 따라 잘못하면 데이터 사용량이 급격하게 높아질 수 도있기 때문입니다.

 

 

스마트폰에서 DSCloud를 이용해 데이터를 백업한다는것은 스마트폰을 통해 데이터 입출력이 발생한다는것이고 결국 스마트폰의 데이터 사용량이 늘어날 수 있기때문에 이런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와이파이 전용] 모드가 있습니다. 와이파이가 연결된 환경에서만 동기화를 하는 옵션입니다.

 

 

DSCloud앱을 통해 실시간 백업이 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간단한 과정이지만 개인이 집에 외장장치를 연결해놓고 각종 서버(FTP서버, 파일서버등등)를 설치하고 스마트폰에서 FTP프로그램을 사용해서 파일을 업로드한다면 여간 귀찮고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NAS라는 기기가 백업이란 기능이 본연의 기능인 동시에 백업에 최적화된 기기이다보니 앱을 통해 복잡한 절차없이 간단하게 원하는 파일 백업/복구가 가능하다는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일반 유저가 사용하기에 가장 쉽고 편리한 백업방식 3가지를 살펴봤습니다.

다음에는 시놀로지 DS216+II를 통해 멀미미디어 파일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본 리뷰는 보드나라와 시놀로지에서 시놀로지 DS216+II를 제공받아 작성했습니다.

 

보드나라 리뷰링크

http://www.bodnara.co.kr/bbs/bbs.html?imode=view&D=20&category=53&num=132816&my_mode=&search_1=&search_2=&start=0